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13)
섹션 5 - 조건문 배운내용 정리 조건문은 영어로 conditional statement이다. false일 경우 작동되지 않고 true일 때 작동되기 때문에 boolean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if가 거짓일 경우 else if가 실행된다. Else if가 true이면 다른 else if들과 else는 실행되지 않는다. If와 모든 else if가 거짓일 경우 else가 실행된다. prompt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을 할 수 있는 함수이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rompt('당신의 나이는?'); //당신의 나이는? 출력. 사용자가 본인의 나이를 입력할 수 있음. alert(prompt('당신의 나이는?')); //promt 먼저 실행 후 사용자의 입력값이 alert창으로 나타남. &&: 그리고, an..
섹션 4 - 비교 배운내용 정리 =를 통해 대입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항을 우항에 대입하는 역할을 한다. a = 1 //1을 a에 대입 == (동등 연산자)와 === (일치 연산자) 총 2가지가 있다. 동등 연산자는 equal operator이고, 좌항과 우항의 값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이다. 일치 연산자는 strict equal operator이고, 값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형식까지 일치해야 true이다. 정확성을 높이고 실행 도중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치 연산자 사용이 권장된다. alert(1 == "1") //값이 같기 때문에 true alert(1 === "1") //값이 같아도 데이터 타입이 다르기 때문에 false alert(0 === -0) //-0과 0은 값이 같고 데이터 타입도 같기..
섹션 3 - 변수 배운내용 정리 변수(variable)는 변하는 것이 가능한 값을 뜻하고, var으로 변수를 선언한다.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형태도 가능하다. var a = 1; var b = "Hello"; 장기적으로 봤을 때 코드의 재활용성이 매우 중요한데, 변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코드의 유지보수도 훨씬 수월해진다.
섹션 2 - 숫자와 문자 배운내용 정리 실수는 소수점이 존재하는 숫자이고, 정수는 소수점 없이 떨어지는 숫자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실수와 정수 구분 없이 number으로 통일한다. 간단한 계산은 콘솔에서 Math 메소드를 사용해서 바로 할 수 있다. Math.round(10.5) //반올림, 값 11 Math.ceil(10.5) //올림, 값 11 Math.floor(10.5) //내림, 값 10 Math.sqrt(9) //제곱근, 값 3 Math.random() //임의의 수 도출 Math 메소드들을 결합해서 더 구체적인 범위의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Math.round(100 * Math.random()) //임의의 수에 100을 곱한 후 반올림 특정 함수를 콘솔에서 계산하고 싶다면 console.log()를 이용해서 계..
섹션 1 - JavaScript 기본 배운내용 정리 슬래쉬 2개(//)를 사용하여 쓸 수 있는 기능으로, 컴퓨터가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너무 길어서 줄바꿈을 해야 하는 주석의 경우에는 시작과 끝에 /*, */를 붙인다. //주석 /*주석*/ /*주석 주석 주석*/ 1. 작성한 코드를 나중에 다시 봤을 때 빠르게 이해하기 위해 2. 상대에게 내가 작성한 코드의 취지와 기능을 잘 설명하기 위해 주석을 작성한다. 명령이 끝났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자바스크립트는 줄이 바뀌면 명령이 끝났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세미콜론은 필수적이지 않다. 단, 2가지 이상의 명령을 1줄으로 작성할 경우에는 명령어의 구분을 위해 써야 한다. var a = 1; alert (a); //No Error var a = 1 alert (a) //No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