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비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변수 타입을 처음부터 신중하게 정하는 것이 좋다.
char: 1byte (-128 ~ 127)
short: 2byte (-32768 ~ 32767)
int: 4byte (-21.4억 ~ 21.4억)
__int64: 8byte (long long) (굉장히 큼)
unsigned ~ : 이론적으로 양수만 존재할 수 있는 데이터
✔ Bool도 1byte의 정수이다. 그러나 어셈블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 Visual Studio 단축키 - 어셈블리 오픈: ctrl alt d
✔ main 밖 변수 선언 vs main 안 변수 선언
전역변수: 함수 밖 선언된 변수. 모든 범위에 적용된다는 뜻의 전역
[데이터 영역]
data (초기값 있는 경우) int a = 2;
bss ( 초기값 없는 경우) int b;
rodata (읽기 전용 데이터) const char a = "hello world;
[스택]
{} 중괄호의 범위가 생존 범위
void Test()
{
hp = 12;
}
/*
괄호 안에서만 생존함
같은 이름을 두번 사용할 때 문제가 된다.
해결방법: 이름 바꾸기, 괄호 추가하기
*/
'기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노트 (0) | 2024.05.01 |
---|---|
따옴표 ('')와 쌍따옴표 ("")의 차이 (0) | 2023.06.17 |